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썸네일

    2025년 DSR 적용 이후, 마이너스 통장의 불편한 진실

    쉽게 만들 수 있고 유사시 유용하다는 이유로 많은 직장인이 마이너스 통장(한도대출)을 선택합니다.

     

    하지만 2025년 현재, DSR 규제가 강화되면서

     

    이 마이너스 통장이 오히려 다른 대출을 막는 함정이 될 수 있다는 점, 알고 계셨나

    📌마이너스 통장이란?

    정해진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입·출금할 수 있는 대출형 상품입니다.

     

    이자는 사용한 금액에만 부과되며, 월 단위로 이자만 납부하는 구조죠.

    ❗ DSR에선 불리한 구조

    중요한 점은 DSR 계산 시 ‘사용 금액’이 아닌 ‘전체 한도’를 전액 사용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겁니다.

     

    예를 들어, 마통 한도 3,000만 원을 받아놓고 0원을 사용 중이라도 DSR 계산에는 3,000만 원 전체가 들어갑니다.

    항목 기준
    적용 방식 한도 전체 원리금 상환으로 계산
    연소득 4,000만 원 기준 DSR 40% → 연 1,600만 원 이내 상환
    3천만 원 마통 연 5.5% 금리 기준, 약 11만 원/월 이자 발생
    DSR 산정 영향 기타 대출 한도 크게 감소

    📉 실제 사례: 마통 때문에 주담대 좌절

    한 직장인은 연봉 5,000만 원에 신용점수 760점으로 주택담보대출을 신청했으나,

     

    예전에 만들어 둔 마통 한도 4,000만 원이 DSR에 포함되면서 총 대출 한도가 줄어들었고,

     

    결국 원하는 집을 포기해야 했습니다.

    ✅ 언제 마이너스 통장이 유리할까?

    • ✔️ 대출 여력이 충분하고, 단기 자금이 급히 필요할 때
    • ✔️ 매달 일부 거치해 두어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을 때
    • ✔️ 다른 대출 계획이 당분간 없을 때

    💡 마이너스 통장도 전략이 필요합니다

    • 📌 DSR 고려 없이 마통 개설 → 신용대출·주담대 막힘
    • 📌 필요 없는 한도는 과감히 감액하거나 해지
    • 📌 한도 = 빚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 기억

    📊 대출 이자 계산 및 금리 비교

    🔗 관련 글 보기

    #마이너스통장 #2025DSR #대출한도 #신용점수 #금리계산기 #한도대출주의

    반응형